[자유 게시판] 한국경제와 금리인상

image.png

1. 금리인상 논쟁

매월 1번 그러니까 1년에 12번 열리던 회의가 美중앙은행(FED) 회의처럼 연 8회로 축소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선 기준금리 인상을 놓고 논쟁이 치열하다. 지난번 금통위 회의(8/31)에서 금리동결을 결정한바 있다(기준금리 1.5%). 금리인상과 동결을 주장하는 측은 각자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금리인상을 주장하는 이유는 외국자본의 이탈방지다. 구체적으로 韓美 상호간 금리

가 0.5% 차이(한국1.5%, 미국2.0%)로 역전된 캐리자금 이동여건에서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경우 올해 안에 격차가 최대 1%까지 벌어져 대규모 외자이탈이 일어날 우려가 존재하는 점을 이유로 든다. 일리가 있는 말이다. 반대로 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해야 한다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GDP성장률 등 여러

가지 거시경제 지표를 놓고 보면 韓경기가 그만큼 나쁘기 때문이다. 촛불정부가 소득주도 성장정책을 54조원을 퍼부으면서 1년 이상 추진하지만 오히려 하위계층이 더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위계층일수록 가계부채 부담이 더 크다. 특히 韓가계부채는 막대하여 10대 위험국가로 분류되어 있다(1,500조원). 이중 70%가 변동금리이라서 금리인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지방과

서민 대출자일수록 변동금리가 많다고 한다. 대출금리 0.25% 상승은 2.3조원의 이자부담이 전체적으로 늘어난다는 통계수치도 존재한다. 이런 상황에서 금리마저 올릴 경우 외환위기 때보다 거리로 내몰리는 연체자 및 신용불량자가 더 늘어날 수도 있다고 반박(反駁)한다. 당시 적황색거래자를 포함한 신용불량자는 대단히 많은 수로 필자는 알고 있다(350만명 내외).

image.png

2. 금리인상이 최선책인가

외자이탈 방지를 위해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측은 이 점을 따져봐야 한다. 신흥국 금융위기 사례를 보면 외자이탈 방지의 최선책은 금리인상보다 외환보유액을 충분히 확보하는 방안이다. 외환보유액이 10억$ 증가하면 신흥국위기를 겪을 확률이 평균 0.5% 정도 낮아진다(추정치)는 분석이 존재한다. 적정 외환보유액은 한국의 경우 3,700억$ 안팎이다. 실제 韓외환보유액

은 1선(직접보유)과 2선(통화스와프 등 간접보유)을 합하면 5,000억$이 넘어 국제기구가 산정한 적정선을 웃돌고 있다. 최근 5년 동안 신흥국은 3차례에 걸쳐 긴축발작(1차 2013년, 2차 2015년, 3차 2018년)을 겪는다. 금리인상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신흥국일수록 외자이탈과 경기침체 상호간 악순환 고리가 형성된다. 부연(敷衍)하면 외자이탈 방지하기 위해 금리인상하면 실물경기

가 침체돼 추가 외자이탈로 이어지는 구조라는 것이다. 대표적 사례로 아르헨티나, 터키를 들 수 있다. 최근 아르헨티나는 금리를 연 45%→60% 수준까지 올리지만 계속된 외자이탈 부담으로 결국은 IMF의 구제금융(원조)을 긴급수혈한다. 참고로 Taper Tantrum(긴축발작)은 美연준(FED)의 금리인상 등에 따라 신흥국이 겪는 외자이탈 등으로 인한 금융시장 불안을 의미한다.

3. 한국의 고용상황

명시여부와 관계없이 각국 중앙은행의 목표는 물가안정과 고용창출이다. 경제성장, 물가, 고용, 국제수지 등 거시경제 4대 부문 가운데 韓경제의 경우 고용부문이 가장 좋지 않다. 어제 통계청이 발표한 8월 고용동향을 보면 나락으로 빠져들고 있다는 생각마저 든다(실업률 4%). 특히 미국을 비롯한 각국이

신경 쓰는 청년 일자리는 최악의 상황이다(실업률 10%). 엄격한 실업률 개념을 적용할 경우 韓청년 실업률은 20%에 육박한다고 한다. 이는 높은 실업률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스페인과 맞먹는 수준이다. 한국처럼 외자이탈에 따른 방어능력을 어느 정도 갖춘 여건에서 금리변경과 같은 통화정책은 고용

창출을 최우선으로 추진하고 있는 재정정책과 보조를 맞출 필요가 있을 것이다. 청와대 Staff와 기획재정부 Line 상호간 갈등이 가뜩이나 경제에 부담이 되는 상황에서 통화와 재정정책까지 엇박자가 날 경우 韓경제는 난국에 빠질 가능성이 상존한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126 자유 게시판 드라마 연모 재밌네요~~ 코미 10-25 3,030
2125 자유 게시판 어떤 일이 일어나야 주식시장이 다시 붕괴될까? icon Work4Block 05-28 4,076
2124 자유 게시판 미국 주식시장도 '동학 개미 운동'인가 icon Work4Block 04-20 3,926
2123 자유 게시판 디즈니를 넘어선 넷플릭스 icon Work4Block 04-20 3,949
2122 자유 게시판 지금 가치주는 얼마나 싼가(아니면 비싼가)? icon Work4Block 04-20 3,884
2121 자유 게시판 가치 투자는 죽었을까? icon Work4Block 04-15 3,736
2120 자유 게시판 현재 코로나19 vs. 과거 전후 복구 기간 icon Work4Block 04-15 3,159
2119 자유 게시판 나쁜 경제 뉴스에도 주식시장이 상승하는 이유 icon Work4Block 04-15 3,274
2118 자유 게시판 모두가 알고 싶은 의문, “워런 버핏은 무엇을 기다리고 있을까?” icon Work4Block 04-15 3,417
2117 자유 게시판 코로나19와 향후 변화할 세상의 수혜를 입을 업종 icon Work4Block 04-15 3,008
2116 자유 게시판 지금은 "블랙 스완" 사건이 아니다 - 나심 탈레브 icon Work4Block 04-15 3,402
2115 자유 게시판 언제나 동트기 전이 가장 어두운 법 icon Work4Block 04-15 2,929
2114 자유 게시판 베어 스턴스 거래가 투자자들에게 가르쳐 준 교훈 icon Work4Block 03-12 3,015
2113 자유 게시판 충격 그리고 시장에 미치는 영향 icon Work4Block 03-12 2,912
2112 자유 게시판 2019년 주요 자산, 통화 및 부분별 성과 icon Work4Block 02-13 3,040
2111 자유 게시판 시장은 네가 무슨 주식을 갖고 있는지 신경 쓰지 않는다.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icon Work4Block 02-13 3,076
2110 자유 게시판 2020년에 일어날 10가지 상황 icon Work4Block 02-13 3,053
2109 자유 게시판 시장에 비해 저렴한 에너지 주식 icon Work4Block 02-13 3,011
2108 자유 게시판 시가총액 4조 달러를 달성한 4대 기술 기업 icon Work4Block 02-13 2,987
2107 취업&면접 후기 지난 10년 최고의 성과를 올린 주식에게 건배! icon Work4Block 02-13 2,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