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미국 국채는 누가 보유하고 있을까?

국제 금융 시스템에서 사실상 누구나 미국 국채를 매수해 보유할 수 있다. 실제, 미국 국채를 포트폴리오에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미 미국 정부에 대한 채권자다.​

또한 아래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해외 각국이 대규모로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으면서, 전반적인 미국 국채 규모에서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다.

image.png

현재 미국 연방 정부는 22조 달러 상당의 국채를 발행했으며, 다양한 국내 및 해외 투자자들이 보유 중에 있다.

image.png

보시다시피, 약 8.1조 달러 상당의 국채를 미국 정부의 부처들 또는 연준이 보유하고 있다. 이 수치에는 연방 공무원들의 퇴직 계좌, 사회 보장 신탁 기금 또는 연준의 대차 대조표 상에 있는 국채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7.6조 달러 상당의 국채는 미국 국내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는 은행, 뮤추얼 펀드, 연기금, 보험 회사 및 기타 투자자들의 보유분이 포함된다.​

미국 국채가 자국 내에 보유되어 있는 점은 거의 흥미롭지 않지만, 해외 국가들이 보유 중인 6.3조 달러 상당이 문제다. 어쨌든, 중국 같은 국가들이 대규모 미국 국채 보유고를 일관 상환 요구 같은 방식으로 “무기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니까 말이다.​

국제적으로, 미국 국채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국가는 중국과 일본으로, 각각 1조 달러가 넘는다.

image.png

중국은 자국 통화의 절상을 막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지난 수십 년 동안 미국 국채를 축적 해왔다. 수출 비중이 높은 중국이 최근 몇 개월에 걸쳐 2,000억 달러 상당을 매각해 보유 비중을 줄인 점이 흥미롭다.

image.png

중국이 1.1조 달러 상당의 미국 국채를 보유 중에 있지만, 한꺼번에 던져버리는 경우 글로벌 금융 시스템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중국에도 마찬가지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이다.​

그렇기는 하지만, 미국 국채를 보유 중인 해외 국가들이 그렇게 할 위험이 상존한다.​

중국, 일본, 브라질 같은 국가가 미국 국채 보유국 명단에 올라있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지만, 케이맨 군도, 룩셈부르크 또는 아일랜드 같은 국가는 왜 미국 국채를 대규모로 보유 중인 것일까?

첫째, 케이맨 군도는 인구가 6만 명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10,000개 이상의 헤지 펀드가 개설되어 있는 헤지 펀드의 천국이다. 룩셈부르크의 경우, 유럽에 있는 조세 피난처라는 점에서 유사한 이유로 미국 국채를 대규모로 보유하고 있다.​

반면, 아일랜드는 페이스북이나 알파벳 같은 미국 기반 기술 대기업들의 해외 본사가 자리 잡고 있다. 이들 기업은 해외에서 벌어들인 현금을 미국으로 송금해 과세 대상으로 만드는 대신, 유동성이 좋은 미국 국채를 통해 해외에 놔두는 편을 선호한다.​

자료 출처: Visual Capitalist, "Which Countries Own the Most U.S. Debt?"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11 자유 게시판 1년 강세장이나, 10년 강세장나 다르지 않은 이유 icon Work4Block 02-13 2,329
210 자유 게시판 젊은 투자자라면 장단기 금리 역전과 경기 침체를 두려워 해서는 안 된다. icon Work4Block 09-06 2,328
209 자유 게시판 미국 국채는 누가 보유하고 있을까? icon Work4Block 07-22 2,328
208 자유 게시판 베네수엘라 인플레이션의 역사 icon Work4Block 12-16 2,328
207 자유 게시판 평범함을 찾아서 icon Work4Block 11-01 2,327
206 자유 게시판 짐 시몬스, 사상 가장 뛰어난 돈 버는 기계 icon Work4Block 11-29 2,327
205 자유 게시판 가치주의 귀환? icon Work4Block 10-02 2,324
204 자유 게시판 분산투자 vs. 집중투자, 우리에겐 무엇이 필요한가? icon Work4Block 03-19 2,324
203 자유 게시판 고위급 美中무역협상의 성패조건 icon Work4Block 01-28 2,323
202 자유 게시판 독립문 앞의 이완용 icon Work4Block 12-09 2,323
201 자유 게시판 하신토의 황금 - 스위스 금고 남긴 유산을 찾아라 1부 icon Work4Block 04-16 2,323
200 자유 게시판 손정의는 선지자일까, 아니면 평범한 자본가에 불과할까? icon Work4Block 01-31 2,323
199 자유 게시판 폭풍우 치는 바다에서, 파도에 욕해봐야 잠잠해지지 않는다 icon Work4Block 11-23 2,323
198 자유 게시판 세 명의 경제학자에게 배우는 투자 교훈 icon Work4Block 10-19 2,322
197 자유 게시판 하던 대로 그대로 하라. 변덕스러운 운명에 걱정할 필요 없다. icon Work4Block 01-30 2,322
196 자유 게시판 이번 강세장의 특징 그리고 최고의 슈퍼스타는? icon Work4Block 03-20 2,320
195 자유 게시판 아마존은 언제 배당금을 지급할까? arie 12-18 2,319
194 자유 게시판 1년 전 시장 급락을 회상하며 icon Work4Block 02-13 2,319
193 자유 게시판 중국의 현실적인 경제문제 icon Work4Block 02-11 2,318
192 자유 게시판 증시 변동성이 큰 이유 icon Work4Block 02-12 2,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