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금리예측이 어려워지는 이유

image.png

FOMC위원 구성(12명)은 연준 이사회(7명)와 지역연준 총재(5명)로 구성된다. 前者는 의장, 부의장, 위원 5명으로, 後者는 뉴욕을 제외한 지역(4개)은 유동적이며 총 5명으로 구성된다. 美中무역전쟁 등으로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중앙은행인 美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정책도 나날이 예측이 힘들어지고 있어 연준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첫째

경제전망의 경우에도 장기보다는 단기지표에 의지하는 점이다. 최근 연준 구성원들의 발언이 이를 말해준다. 부연(敷衍)하면 FED가 몇 년 단위가 아닌 매달 혹은 매분기 발표되는 물가상승률, 실업률, 경제성장률과 같은 단기지표를 경기판단의 근거로 삼고 있는바 이는 곧 FED의 장기적 전망이나 행보를 예측하기 더 힘들어짐을 의미한다. 일단 시장에선 이달 18∼19일 FOMC 회의

에서 FED가 금리를 한 차례 더 인상할 것으로 예상한다.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 반영된 12월 금리를 0.25% 올릴 확률은 60%대 후반에 달한다. FED의 금리정책은 시장의 예측에 상당히 부합한다. 08년 금융위기 이후 FED는 양적완화(QE)로 돈을 많이 풀어 경기를 부양하다가 경기회복세가 자리를 잡으면서 2015년과 2016년 1번씩 금리를 인상한다. 이후 美경제가 호조가 확실해지

면서 美연방준비제도는 당초 로드맵인 3•3•3전략에 따라 지난해와 올해 각각 3차례씩 금리를 올려 기준금리를 2∼2.25%까지 올린다. 참고로 3•3•3전략은 매년 3번, 3년간, 3%로 기준금리를 인상한다는 의미이다. 이번 12월 금리가 한차례 더 오르면 연방기준금리는 2.25~2.5% 수준이 된다. 많은 연준 관리들은 경기를 지나치게 부양하지도 않으며 둔화시키지도 않는 이른바 중립금

리 수준을 2.75% 혹은 3% 수준으로 보고 있다. 그렇더라도 여전히 중립금리 수준에 대해 확정짓지 못한 상태라서 시장 및 경제수치를 보고 더 높게 혹은 더 낮게 중립금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FED부의장은 새로운 경제데이터는 FED회의마다 금리를 결정하는 길라잡이가 될 뿐만 아니라 중립금리와 안정적인 물가상승에 부합하는 실업률이라는 2가지 핵심정책 이정표를 정기적으

로 평가하는 요소임을 강조한다. FED가 내년부터 그동안 연간 4차례인 회의 이후 기자회견을 8차례로 늘리는바 이는 금리변동이 있을 가능성이 그만큼 늘어난 것임을 의미한다. 이런 국면변화는 투자자들이 FED의 의도를 이해하는데 더 큰 어려움이 된다. 둘째 美연준의 행보가 불확실해지는 이유는 무엇보다 커지는 美경제의 변동성이다. 이에 연준內에서의 의견 불일치가 美경

제의 가장 큰 변수이다. 연준 관료들은 경제둔화를 예상하지만 그 과정에 얼마나 큰 변동성이 있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이미 금리인상은 주택가격 둔화로 이어지고 있으며 유가하락세와 물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는 금리인상에는 긍정과 부정의 2가지 측면이 존재한다. 前者는 美연준이 2015년 12월 금리인상을 시작한 시기보다 중립금리에 훨씬 가까워진

상태며 지표가 새로 나올 때마다 중립금리에 대한 평가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금리인상 유연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인 한편 後者는 금리인상 속도유지에 부정적, 신중해야 한다는 견해인바 이의 근거로는 美경기회복의 균열 가능성 즉 2019~20년 美경제의 둔화전망이다. 지역이나 부문별로 보면 호황인 곳도 있고 경기확대의 영향이 제대로 미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곳도 있지만.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205 자유 게시판 한 비트코인 투자자가 들려주는 거품의 교훈 icon Work4Block 12-12 2,448
1204 자유 게시판 손정의와 소프트뱅크가 불러 일으킨 스타트업 투자 전쟁 icon Work4Block 12-12 2,821
1203 자유 게시판 물가지수의 한계와 통화정책 icon Work4Block 12-12 2,724
1202 자유 게시판 금리예측이 어려워지는 이유 icon Work4Block 12-12 2,481
1201 자유 게시판 적응하는 자만이 살아남는다 - 역사상 가장 위대한 투자자의 운명 2부 icon Work4Block 12-12 2,784
1200 자유 게시판 인간기관차 멈추다 icon Work4Block 12-11 2,309
1199 자유 게시판 경제에 대한 과장된 두려움, 그리고 시장의 과잉반응 icon Work4Block 12-11 2,955
1198 자유 게시판 투자에서 감정 전염에 조심하라 - 주변 사람들이 투자 포트폴리오에 미치는 영향 icon Work4Block 12-10 3,348
1197 자유 게시판 중국 인구, 도대체 얼마나 많은가 icon Work4Block 12-10 3,380
1196 자유 게시판 가족 기업은 왜 잘나가는가? icon Work4Block 12-10 2,654
1195 자유 게시판 IMF의 날 icon Work4Block 12-10 2,796
1194 자유 게시판 美中패권과 RCEP 타결문제 icon Work4Block 12-10 2,827
1193 자유 게시판 미국 무역 적자 심화, 10년 전보다 높아... icon Work4Block 12-10 2,417
1192 자유 게시판 시장에서 이례적 현상이 사라질 때.. icon Work4Block 12-10 2,738
1191 자유 게시판 우리가 된 외국인 4- 위구르인 설장수 icon Work4Block 12-10 2,366
1190 자유 게시판 美중간선거후 흔들리는 트럼프 입지 icon Work4Block 12-10 2,442
1189 자유 게시판 기후 온난화의 위협을 받고 있는 미국 곡창지대, 그리고 곡물 수입국들 icon Work4Block 12-09 2,860
1188 자유 게시판 진화냐, 죽음이냐? - 역사상 가장 위대한 투자자의 운명 1부 icon Work4Block 12-09 2,921
1187 자유 게시판 다시 불붙고 있는 배터리 자원 전쟁 icon Work4Block 12-09 2,288
1186 자유 게시판 국가신용등급과 삼성바이오 분식회계 icon Work4Block 12-09 2,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