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연재] 강철의 역사 (2) - 철과 석탄

"강철의 역사 (1) - 강철이 탄생하기까지의 여정" 에서 계속

성검과 사무라이검

전설에 따르면, 성검 엑스칼리버는 당당하고 아름다웠다고 한다. 그 뜻은 "강철을 자른다"는 의미다. 하지만 당시에는 강철이 없었다. 아더왕 시대부터 중세 시대까지, 유럽은 철과 강철 생산에 뒤져 있었다.


image.png
<드 보훈 가문이 소장 중인 중세 시대 검>

로마 제국이 몰락하면서(공식적으로 476년), 유럽은 혼란에 빠져들었다. 인도는 여전히 훌륭한 강철을 만들고 있었지만, 유럽까지 공급은 잘 이뤄지지 않았다. 도로도 부실했고, 도중에 상인들이 습격 당하거나, 전염병과 질병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이어 스페인의 카탈로니아에서 인도와 비슷한 노인 "카탈로니아 노"가 개발됐고, 여기서 생산된 단철로 말굽, 마차 바취, 경첩 및 철제 갑옷이 제작되었다.

기사들은 특별한 검을 만들었다. 검을 비틀어 벼린 결과, 검날에 해링본 편조 문양이 나타났다. 바이킹은 이 문양을 용의 비늘이라고 생각했고, 아더왕의 엑스칼리버와 엘시드의 티조나 같은 검은 신화가 되었다.

하지만 세계 최고의 검은 지구 반대편에서 태어났다. 일본인들은 새로운 단조 기술을 알아냈다. 검날을 두드려, 가볍고 치명적일 정도로 날카로운 검을 만들었다. 이 검은 최고의 선물 중 하나가 되었으며, 가문의 가보로 대대손손 대물림이 되었다. ‘카타나’라고 불리는 이 단조법은 복잡하고 의식에 가까운 단계를 거쳤다.

일본 장인들은 제작에 들어가기 전에 목욕으로 몸을 정갈히 했다. 몸이 깨끗하지 못하면, 악령이 검에 스며든다고 생각했다.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단철 덩어리를 숯불에 달군다. 2) 달궈진 단철을 두드려 편다. 3) 반으로 접는다. 4) 물에 식힌다. 이 과정을 약 20차례 반복했다. 이 과정에서 날에 아크 모양이 생겼다. 그리고 두르려 펴고, 다시 접는 과정을 통해, 숯에서 나온 탄소와 접촉하고, 그에 따라 단철이 강철로 변했다.


image.png
<14세기 가마쿠라 막부시대 일본 최고 도공으로 여겨지는 마사무네가 만든 일본도.>

최종적으로 날을 숯돌에 갈아 완성하면, 소용돌이 치는 옹이와 잔물결이 있는 나뭇결과 비슷한 패턴이 날에 나타났다. 유럽에서 만든 검에 나타난 용의 비늘보다 더 미세했다. 그리고 "비사(飛砂)", "초승달(初─)" 등의 이름을 붙였다. 현재 남아있는 다섯 종을 "천하오검(天下五剣)"이라 부르며,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철과 석탄

최초의 고로(blast furnace)는 모래 시계처럼 생겼다.

독일 라인강 계곡의 금속공은 3미터 크기로 다량의 철광석과 숯을 넣을 수 있고, 하부에 2곳의 송풍구가 있는 고로를 개발했다. 노를 가열하면, 철이 더 많은 탄소를 흡수할 수 있고, 이를 주형에 부어 쉽게 주철로 만들 수 있었다.


image.png
<중세 고로의 원리>

이 방식은 중국이 1700년 전부터 사용한 제련 방법이었지만, 노의 크기가 훨씬 더 컸다. 또한 송풍구 아래에 공간을 두고 용융된 철이 바닥에 모이도록 만들었다. 이 공간의 모양이 새끼 돼지가 젖을 먹는 모습과 비슷했기 때문에, 여기서 만들어진 철을 선철(pig iron)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런 혁신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유럽은 전쟁에 휩싸여 있었다. 13세기 대포가, 14세기 소총이 발명되자, 새로운 금속에 대한 갈망이 더해졌다. 선철은 주형에 부어 대포와 소총을 바로 만들 수 있었고, 유럽은 예전처럼 무기를 대량으로 만들어내기 시작했다.

하지만 철의 혁명은 또 다른 문제를 일으켰다. 유럽이 전 세계에 세력을 펼쳐 나가면서, 더 많은 배와 제련용 숯을 만들기 위해 엄청난 양의 목재가 소비됐다. "Steel: From Mine to Mill, the Metal That Made America"에 따르면, 영국 고로 하나를 돌리는데 연간 240에이커(약 30만 평) 면적의 나무가 필요했다고 한다.

영국은 해결책을 아직 개발되지 않은 신세계의 자원으로 택했고, 대서양을 가로 질러 미국 식민지에서 철을 제련해 가져오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자국내 제철 산업이 파괴되었다.

제철용 연료에 대한 영국의 고민은 한 주철 냄비 제조업체에서 해결책이 나왔다. 아브라함 다비는 어린 시절 대부분을 맥아 공장에서 일했다. 그는 1700년대 보리밭을 갈아 엎던 당시 발견한 불에 타는 돌덩이를 기억하고 있었다. 바로 석탄이었다.

다른 이들도 석탄을 태워 철을 제련하려고 했었지만, 석탄을 먼저 구운 다음 이를 다시 제련에 사용한 것은 다비가 처음이었다. 구운 석탄은 숯보다 훨씬 더 오래 열을 유지했고, 제련공들은 선철을 더 묽게 녹일 수 있었다. 묽어진 선철은 주형에 부어넣기가 훨씬 더 수월했다. 오늘날 다비의 대형 고노는 콜브룩데일 철 박물관에 남아있다.

이렇게 영국이 석탄을 제련용 연료로 사용하게 되었지만, 여전히 강철을 만들내지 못하고 있었다.

(계속)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05 자유 게시판 세계가 보호 무역주의로 회귀한다면... icon Work4Block 07-18 3,112
304 자유 게시판 소비를 바꿔놓고 있는 회원제 경제 icon Work4Block 07-18 3,050
303 자유 게시판 [연재] 강철의 역사 (2) - 철과 석탄 icon Work4Block 07-18 3,504
302 자유 게시판 비트코인 반등, 블랙록 비트코인 선물 투자 검토 소식 icon Work4Block 07-18 3,357
301 자유 게시판 문재인은 사실 암호화폐로 당선됐다.manhwa icon Work4Block 07-18 3,194
300 자유 게시판 경제 문재인 정부 경제상황 icon Work4Block 07-17 3,332
299 자유 게시판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의미짤 icon Work4Block 07-16 5,952
298 자유 게시판 [투자] 레이 달이오의 위험 균형 전략에 주목할 때 icon Work4Block 07-16 2,805
297 자유 게시판 FiFA 월드컵 트로피에는 금이 얼마나 들어갔을까요? icon Work4Block 07-16 2,987
296 자유 게시판 [연재] 강철의 역사 (1) - 강철이 탄생하기까지의 여정 icon Work4Block 07-16 2,933
295 자유 게시판 [그레이엄 시리즈] 대공황 시절 벤저민 그레이엄의 교훈 icon Work4Block 07-16 3,122
294 자유 게시판 미국발 무역 전쟁의 짧은 역사 icon Work4Block 07-15 2,870
293 자유 게시판 투자자 ≠ 투기자 icon Work4Block 07-15 2,717
292 자유 게시판 중국 주식 시장의 진화, MSCI 지수로 본 icon Work4Block 07-14 4,012
291 자유 게시판 빅맥 지수로 본 각국의 통화 가치 icon Work4Block 07-14 2,782
290 자유 게시판 e-스포츠의 폭발적인 성장 - 2020년 14억 달러 규모 icon Work4Block 07-14 3,276
289 자유 게시판 암호화폐 시장 발전의 걸림돌 - 언론 보도 icon Work4Block 07-14 3,020
288 자유 게시판 가장 노동 집약적인 산업은 어느 곳일까요? icon Work4Block 07-13 3,885
287 자유 게시판 달러와 금 그리고 코인 icon Work4Block 07-12 3,845
286 자유 게시판 알쓸잡상 42편 - 레고 icon Work4Block 07-11 3,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