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주택 시장과 경기 침체의 관계

미국 경제에서 집중해서 봐야 할 요소는 단독 주택 착공 건수와 신규 주택 판매 건수다. 단독 주택 착공 건수는 훌륭한 경기 선행 지표이며, 현재 신규 주택 판매 건수( 및 신규 주택 착공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견조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경기 침체가 시야에 들어오지 않았다는 의미다. ​

주요 주택 활동의 최저점과 최저점은 아래 차트와 같습니다. 단독 주택 착공 건수(파란색 선), 신규 주택 판매 건수(초록색 선) 및 GDP 대비 주택 투자(RI) 비율(빨간색 선)을 나타난 것이다.

image.png

차트에서 화살표는 이 세 가지 지표의 고점과 저점을 나타낸다.​

이 차트의 목적은 이 3가지 지표가 일반적으로 함께 고점과 저점을 이룬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주택 투자는 분기별 수치이며, 단독 주택 착공 건수와 신규 주택 판매 건수는 월간 수치이다. ​

최근 GDP 대비 RI 비율이 둔화되고 있다.​

또한 GDP 대비 RI 비율, 신규 주택 판매 건수 및 단독 주택 착공 건수가 이전 고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수준에서 크게 하락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일 수 있다.​

두 번째 차트는 미국 인구 조사국의 신규 주택 판매 건수의 YoY 변화율 보여준다.

image.png
주: 신규 주택 판매 건수는 YoY 변화율을 계산하기 전에 3개월 평균으로 부드럽게 만들었다. 인구 조사국 데이터는 1963년 이후의 것이다.​

이 차트로부터 다음 두 가지를 알 수 있다.​

  1. 신규 주택 판매 건수의 YoY 변화율이 약 20% 떨어지면 보통 경기 침체가 뒤따른다. 그중 한 가지 예외는 1960년대 중반 베트남 전쟁으로 경기가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시기였다. 2010년의 급격한 하락은 2009년 저소득층 주택 세금 감면 정책과 관련이 있으며, 주택 시장 붕괴의 연속이었을 뿐이다.​

  2. 1986년/1987년과 1990년대 중반을 살펴보는 것도 흥미롭다. 이 두 기간에 신규 주택 판매 건수가 줄어들긴 했지만, 20%는 아니었다. 1980년대 중반에는 국방 지출과 경기 후생 지표가 급등하면서 신규 주택 판매 건수 감소의 영향을 상쇄했다. 1990년대 중반의 경우, 비거주용 건설 투자는 여전히 강세를 유지했다.​

신규 주택 판매 건수가 2018년 말부터 감소했지만, 역사적으로 볼 때 큰 폭의 하락은 아니었다. 또한 신규 주택 판매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견조하게 상승한 상황에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는 시기 상조로 보인다. ​

자료 출처: Capital Calculated, "Housing and Recessions"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0 자유 게시판 증권 거래소에 관한 최초의 책, 경매가 30만 달러 icon Work4Block 12-06 2,146
29 자유 게시판 스웬슨이 “Unconventional Success”에서 일반 투자자에 권한 포트폴리오는 효과가 있었을까? icon Work4Block 10-02 2,146
28 자유 게시판 아이리시 위스키의 역사 icon Work4Block 10-18 2,145
27 자유 게시판 투자자의 본분, 언론 보도를 무시하는 것 그리고 기존 계획을 고수하는 것 icon Work4Block 10-28 2,139
26 자유 게시판 차기 워런 버핏? - 애디 램퍼트와 시어스의 미스터리 2부 icon Work4Block 12-07 2,138
25 자유 게시판 현금도 "포지션"이다 icon Work4Block 12-06 2,135
24 자유 게시판 억만장자들의 전직은? 어떤 능력이 그들을 억만장자로 만들었을까? icon Work4Block 01-13 2,135
23 자유 게시판 카타르의 OPEC 탈퇴는 막 시작일 뿐 icon Work4Block 12-07 2,133
22 자유 게시판 통행금지의 시작 icon Work4Block 09-12 2,133
21 자유 게시판 주택 시장과 경기 침체의 관계 icon Work4Block 10-31 2,121
20 자유 게시판 中성장정책과 美中무역 갈등 icon Work4Block 12-19 2,116
19 자유 게시판 Global경기 둔화원인 icon Work4Block 12-09 2,115
18 자유 게시판 원유의 지정학, 유가에 영향력이 큰 국가는 어디 어디일까? icon Work4Block 03-09 2,114
17 자유 게시판 가장 빨리 부자가 되는 방법 icon Work4Block 10-15 2,111
16 자유 게시판 흥미로운 Economic Analysis icon Work4Block 02-07 2,110
15 자유 게시판 최초의 사진 신부 최사라 icon Work4Block 12-19 2,110
14 자유 게시판 Brexit 합의와 보류된 핵심현안(2) icon Work4Block 12-06 2,104
13 자유 게시판 향후 美연준(FED)의 통화정책 icon Work4Block 03-07 2,102
12 자유 게시판 불확실한 시장에서 각광받고 있는 로우볼 주식 arie 12-18 2,078
11 자유 게시판 관세효과의 양면성과 美中무역협상의 실패 원인 icon Work4Block 09-15 2,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