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반등을 준비하고 있는 중국의 경제 성장


image.png

불과 25년 전만 해도 상하이에는 짧은 지하철 노선 하나밖에 없었다. 이후 15개 노선이 추가되었고, 총연장 700km의 세계 최장 지하철 체계를 갖춘 도시가 되었다. 이것으로 끝이 아니다. 최근 향후 5년 동안 지상 철로를 포함해 300km를 추가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 건설 작업 대부분은 지하에서 기계에 의해 이뤄지기 때문에 거의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도시 주변에 뚫고 있는 굴착공을 통해 지하 작업 활동의 단서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전국적인 건설 현황의 일부에 불과하다. 관영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기 경기를 부양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인 인프라 건설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한다. 올해 1분기 중국의 GDP는 전년 동기 대비 6.4% 성장했고, 지난 10년 동안 가장 낮았던 2018년 4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더 높은 성장률이지만, 중국의 경기 둔화가 가능성이 전 세계를 불안하게 만들었다.

이런 두려움은 지난해부터 커지기 시작했다. 미국과의 무역 분쟁으로 상황이 상황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 중국의 주식 시장 역시 급락했다. 기업가들은 이미 강력한 국영 기업들의 등쌀에 못 살겠다고 아우성쳤다. 부채 수준을 낮추기 위한 규제 활동이 금융 시스템에 영향을 미쳤고, 은행들의 현금 대출에 경고음이 울렸다.

따라서 2018년 중반 중국 정부는 기어를 바꿨다. 개인의 소득과 기업의 수익에 부과하는 세금을 인하했다. 당국은 은행들에게 중소기업에 더 많은 대출을 실시하라고 명령했다. 그리고 인프라 건설 계획이 다시 가동됐다. 이전 몇 개월 동안 부채 조절을 이유로 지하철 건설 계획 승인이 미뤄지고 있었다. 하지만 7월부터 상황이 바뀌었다. 상하이를 포함한 6개 도시에서 다시 지하철 건설 계획이 시작된 것이다. 건설 시장을 보여주는 지표인 굴착 장비 판매량이 2019년 첫 3개월 동안 8년 내 최고치까지 급등했다(아래 차트 참조).


image.png

그렇지만 중국이 경기 부양을 얼마나 해낼지에 대한 의구심은 여전하다. 리커창 총리는 부채 증가를 경계하면서 주요 경기 부양책을 그만둬야 한다고 반복해서 주장해왔다. 감세 효과는 금 삭감의 혜택은 가혹할 정도의 세금 징수 활동으로 무뎌졌다.

한편 인프라 확장은 중국의 경제 성장이 분명한 한계에 도달했음을 보여준다. 올해 3,200km의 고속철도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세계 2위 고속 철도망을 갖추고 있는 스페인에 맞먹는 규모다. 하지만 지난 5년간의 연평균 3,600km보다 줄어든 것이다. 정부가 경기 둔화로 실업률 상승을 걱정할 필요도 없다. 인구가 고령화되면서 노동 인구가 줄어들고 있고, 전국적으로 구인 광고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모든 제약을 감안할 때, 많은 관측통들은 올해 신용 시장 성장세에 놀라고 있다. 은행 대출과 채권 발행을 중심으로 한 사회 융자 총액은 1분기 8.2조 위안(1.2조 달러)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했으며, 대부분의 예측을 뛰어넘었다. 이 중 대부분이 단기 기업 대출이었다. 이는 순종적인 국유 은행들이 수요자들의 요구 보다 먼저 대출을 활성화시키라는 정부의 요구에 따르고 있다는 신호로 읽을 수 있다. 맥쿼리 증권의 래리 후는 이에 따라 올해 중반까지 경제 성장률이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경기 부양책이 제한될 것이라는 예측이 빗나간 것일까? 경기 부양책의 규모가 아니라 시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 정보는 경제 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경기 부양 계획을 앞당기고 있는 모습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정치적 계산이 숨어있다. 첫째는 미국과의 무역 전쟁이다. 중국은 지난해 주식 시장이 하락하면서 미국 보다 불리한 입장에 놓였었다. 친성장 정책에 힘입은 올해 중국 주식 시장 상승세로, 미-중 무역 협상이 본격화되는 국면에서 중국의 자신감을 끌어올리고 있다. 둘째는 10월 1일로 중국 공산당 집권 70주년이 되며, 중국 정부를 이날을 열광적인 축제 분위기로 즐기고 싶을 것이다. 결코 경제에 대한 불만으로 축제가 망쳐지길 바라지 않을 것이다. 올여름 지하철 공사장은 그 어느 때보다 바쁘게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

자료 출처: The Economist, "Chinas growth is set to perk up after a decade low"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727 자유 게시판 재귀성은 시장 어디에나 존재한다 icon Work4Block 04-14 2,991
1726 자유 게시판 왜 투자자들은 IPO에 투자하고 싶은 유혹을 떨치지 못할까? icon Work4Block 04-14 2,607
1725 자유 게시판 재산 성장 과정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은? icon Work4Block 04-14 2,539
1724 자유 게시판 해외 주식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icon Work4Block 04-14 2,864
1723 자유 게시판 치열해지고 있는 스마트 스피커 시장 icon Work4Block 04-14 2,994
1722 자유 게시판 숫자로 보는 미국 대마초 합법화의 영향 icon Work4Block 04-14 2,592
1721 자유 게시판 필립 피셔 - 좋은 기업을 매수 후 보유하라 icon Work4Block 04-14 2,647
1720 자유 게시판 배당금이 공짜라는 오류에 빠지지 말라 icon Work4Block 04-14 2,586
1719 자유 게시판 레이 달리오 - 투자의 첫걸음은 저축이다 icon Work4Block 04-11 3,283
1718 자유 게시판 조엘 그린블라트 - 시장을 이기는 두 가지 비결 icon Work4Block 04-10 2,795
1717 자유 게시판 배당금, 시장에서 역할이 줄어들고 있는 이유? icon Work4Block 04-10 3,003
1716 자유 게시판 연간 순이익으로 본 세계 14대 산업 icon Work4Block 04-09 3,083
1715 자유 게시판 "원유 트레이딩의 신" 앤디 홀의 비상과 추락 icon Work4Block 04-09 2,758
1714 자유 게시판 시장 변동성은 수수료일까? 벌금일까? icon Work4Block 04-09 2,947
1713 자유 게시판 다섯 가지 시장 붕괴에서 배워야 할 교훈 icon Work4Block 04-09 2,971
1712 자유 게시판 주식 관리보다 투자자 자신의 행동 관리가 더 중요하다 icon Work4Block 04-09 3,008
1711 자유 게시판 찰리 멍거의 초기 파트너십에서 배워야 할 교훈 icon Work4Block 04-09 3,159
1710 자유 게시판 소외되어 있는 투자 서적 9권 icon Work4Block 04-07 3,487
1709 자유 게시판 버크셔의 소규모 주식, 레스토랑 브랜즈와 스토어 캐피털 투자의 특징 icon Work4Block 04-07 3,075
1708 자유 게시판 ETF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icon Work4Block 04-07 2,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