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중국 음식 문화의 12가지 변화 (2) - 새로운 일상이 된 음식 배달 문화

과거 중국에서 패스트푸드라고는 인스턴트 라면이 전부였던 시절이 있었다. 이제 상황은 더 이상 그렇지 않다.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음식 배달 사업의 성장으로 고급 음식을 편리하고 저렴한 가격에 즐기고 있다.

image.png

(중국에서는 자동차 운행 비용이 높고, 도시 내에서 이동성도 상대적으로 불편하다. 하지만 오히려 이런 점이 음식 배달 서비스 사업이 번창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이 되었다.)

​도로 위의 스쿠터 물결 속에서든, 쇼핑몰의 인파 속에서든 아니면 붐비는 엘리베이터 안에서든 중국 시내 어디에서도 음식 배달원들의 찾아볼 수 있고, 이제 도시 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았다. 이들의 독특한 복장, 한 손에는 스마트폰과 다른 손에는 비닐봉지를 든 모습 또한 놓칠 수 없다.

​오늘날 중국에서 음식 배달 서비스는 가장 중요한 트렌드임이 틀림없다. 이로 인해 사람들이 음식 종류뿐만 아니라, 음식을 먹는 장소와 먹는 시간도 변화되고 있다. 심지어 중국 도시 내에서 사람들의 흐름도 변화시키고 있다.

​온라인 소매업체 메이퇀 디엔핑 (Meituan Dianping, 美团点评)(적극 사용자 수 3억 1천만 명에, 일간 결재 횟수는 1,470만 회에 이름)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중국인들이 음식을 배달시켜 먹은 규모는 319억 달러에 달한다고 한다. 중국의 음식 배달 서비스 부문은 메이퇀과 어러머(ele.me ,饿了么)가 양분하고 있으며, 합해 시장 점유율 95%를 확보하고 있다(나머지는 소규모 지역 업체들이 차지하고 있다).

​중국에서 음식 배달 서비스 사업이 폭발적인 성장을 이룬 이유 중 하나가 도시화다. 중국의 도시 환경은 미국보다 7배나 밀도가 더 높은 상황이다. 더불어 디지털화 또한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선두 전자 상거래 업체들은 완성된 물리적 인프라(예를 들어, 택배 네트워크)와 디지털 인프라(예를 들어, 모바일 결제)에 음식 배달 서비스를 접목시키고 있다.

음식 배달 현상을 연구해 온 인비지블시티즈의 연구원인 로이 린은 이렇게 말한다.

도시 계획과 구역화 설계가 음식 배달 서비스 사업이 번창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제공해 주었다. 상하이와 다른 도시들은 지난 20년 동안 미국의 자동차 중심 도로망을 모방해 개발되었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자동차 운행 비용이 높고, 도시 내에서 이동성도 상대적으로 불편하다. 하지만 오히려 이런 점이 음식 배달 서비스 사업이 번창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이 되었다.

image.png

(대형 음식 배달 서비스 업체 메이퇀 디엔핑은 3억 1천만이 적극적으로 사용 중이고, 매일 배달 요원들이 1,470만 회 배달에 나서고 있다.)

가격 또한 중요한 요소다. 중국에서 음식 배달 서비스 산업은 가격은 낮고, 수요는 높은 경쟁 시장이다. 사람들은 가격이 적당하면, 편리함을 찾게 된다. 그리고 오랜 기간 많은 도시에서 24시간 언제라도 이용할 수 있다는 편리함이 음식 배달 서비스의 특징이었고, 중국의 경우 단지 패스트 푸드뿐만 아니라 고급 식당의 음식 역시 배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평일 점심에서부터 고급 식당의 가족 코스 요리 그리고 베이커리, 카페 및 슈퍼마켓의 음식에 이르기까지 배달 서비스가 가능하다.

TF 증권 류장밍 애널리스트는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혔다.

10년 전만 해도 인스턴트 라면이 인기를 끌었다. 편리함 때문이었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지금 인스턴트 라면은 생활에서 거의 보이지 않게 되었다. 좋은 음식을 온라인으로 빠르고 쉽게 배달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리 비싸지도 않으면서, 아주 편리하다.

(2부 길거리 음식의 쇠퇴에서 계속).....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407 자유 게시판 지도로 본 2018년 국가별 1인당 GDP icon Work4Block 01-23 2,851
1406 자유 게시판 2020년 미국 원유 수출량이 수입량을 넘어설 전망 icon Work4Block 01-23 2,409
1405 자유 게시판 [안전 마진] 1.1 투자 vs. 투기 icon Work4Block 01-23 2,537
1404 자유 게시판 2018년 말 주가 급락을 다보스 포럼은 알고 있었다. 올해도? icon Work4Block 01-23 2,366
1403 자유 게시판 지금 어그로 하는 사람들... 엠까치 01-23 2,889
1402 자유 게시판 세스 클라만 "안전 마진" 서문 DukeLoveU 01-22 2,873
1401 자유 게시판 실패에 대한 버핏의 조언 DukeLoveU 01-22 2,423
1400 자유 게시판 투자에서 자국 편향의 문제 - 일본의 사례 DukeLoveU 01-22 3,290
1399 자유 게시판 BNSF 철도 인수 후 10년, 버핏의 투자는 옳았을까? DukeLoveU 01-22 3,266
1398 자유 게시판 존 보글이 전해준 3가지 교훈 icon Work4Block 01-21 3,479
1397 자유 게시판 에너지 전문가들, “이제 세 자릿수 유가는 볼 수 없을 것” icon Work4Block 01-21 2,984
1396 자유 게시판 배당 보다는 임대로 살아요... 엠까치 01-21 2,718
1395 자유 게시판 “확증 편향”, 가장 위험한 인지 편향 - 바로잡을 수 있는 건 자신뿐 icon Work4Block 01-21 3,217
1394 자유 게시판 이제 ETF 운용도 인공지능이 icon Work4Block 01-18 2,876
1393 자유 게시판 조엘 그린블라트, 젤리빈 그리고 주식 시장 icon Work4Block 01-18 2,577
1392 자유 게시판 EU의 對美 무역협상과 英•中경제 불안요인 icon Work4Block 01-18 2,671
1391 자유 게시판 유로와 美달러의 간극 icon Work4Block 01-18 2,694
1390 자유 게시판 세계경기와 부동산시장(2) icon Work4Block 01-18 2,684
1389 자유 게시판 드디어 세계 최고의 거래소로 정착했네요... 엠까치 01-18 3,634
1388 자유 게시판 블록체인과 암호(가상)화폐 icon Work4Block 01-17 2,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