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왜 투자자들은 장단기 금리 역전을 두려워할까?

장단기 금리 역전만큼 투자자들이 두려워하는 상황도 거의 없다.

그 이유는 2가지다.

  1. 미국에서 발생했던 9차례 경기 침체에서 장단기 금리 역전(1년 만기 국채 금리가 10년 만기 국채 금리보다 높아진 상황)이 선행됐었다.

image.png

  1. 장단기 금리차가 좁혀지거나, 역전된 후 주식 시장 하락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었다.

image.png


(금리 곡선 범위는 10년 만기 국채 금리에서 1년 만기 국채 금리를 뺀 값임)

2007년 이후 처음으로 지난 2018년 12월 부분적인 장단기 금리 역전 상황이 빚어졌었다. 12월 말, 6개월 만기 국채 금리는 2.56%를 기록하면서, 5년 만기 국채 금리(2.51%)보다 5bp 더 높아졌다.


image.png

자연스럽게 많은 투자자들이 두려워했고, 설문조사 결과 45%가 곧 경기 침체가 닥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합리적인 예측일까? 과거 지금과 유사했던 3차례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자. (6개월 만기 국채와 5년 만기 국채 금리 역전)

​1) 2005년 12월, 2000년 이후 처음으로 이 장단기 금리가 역전됐다. 이달 S&P 500은 1,248로 마감했다. 다음에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

​- S&P 500 지수는 이후 22개월 동안 상승 랠리를 펼쳤고, 2007년 10월 1,576을 기록할 때까지 26% 이상 상승했다.

  • 2007년 12월 경기 침체가 시작되기 전까지 미국은 24개월 동안 계속 경기가 확장됐다.

image.png

  1. 1998년 8월, 1989년 이후 처음으로 이 장단기 금리가 역전됐다. 이달 S&P 500 957로 마감했다. 다음에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
  • S&P 500 지수는 이후 19개월 동안 상승 랠리를 펼쳤고, 2000년 3월 1,553를 기록하기 전까지 62% 이상 상승했다.
  • 2001년 3월 경기 침체가 시작되기 전까지 미국은 31개월 동안 경기가 확장됐다.

image.png

  1. 1989년 3월, 1981년 이후 처음으로 이 장단기 금리가 역전됐다. 이달 S&P 500은 295로 마감했다. 다음에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

​- S&P 500 지수는 이후 16개월 동안 상승 랠리를 펼쳤고, 1990년 7월 369를 기록하기 전까지 25% 이상 상승했다.

  • 1990년 7월 경기 침체가 시작되기 전까지, 미국은 16개월 동안 경기가 확장됐다.

image.png

이와 같이, 장단기 금리가 역전됐다고 해서 바로 경기 침체로 이어진다는 규칙은 없다. 장단기 금리차는 장기간의 선행 지표이며,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고 경기 침체가 시작되기까지 16개월 내지 31개월이 걸리며, 주식 시장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하락하기 16개월 내지 22개월이 걸렸다.

이번에도 이 정도의 시간이 걸릴까?

​모른다. 투자에서 착착 들어맞는 규칙 같은 건 없기 때문이다. 모든 사이클이 다 다르고, 과거에 일어나지 않았다고 해서, 이번에도 일어나지 말란 법은 없다. 바로 다음 달 경기 침체가 일어날 수도 있고, 주식 시장은 이미 고점을 지났을 지도 모른다. (S&P 500은 지난해 9월 2,940를 고점으로 하락해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런 것들은 개연성이 아니라 가능성이다. 적어도 과거 역사를 통해서 볼 때, 경기 확장은 더 지속되고, 주식 시장은 다시 반등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편이 보다 합리적이라고 본다.


image.png

자료 출처: Pension Partners, "Lions and Tigers and Yield Curve Inversions"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405 자유 게시판 [안전 마진] 1.1 투자 vs. 투기 icon Work4Block 01-23 2,528
1404 자유 게시판 2018년 말 주가 급락을 다보스 포럼은 알고 있었다. 올해도? icon Work4Block 01-23 2,359
1403 자유 게시판 지금 어그로 하는 사람들... 엠까치 01-23 2,885
1402 자유 게시판 세스 클라만 "안전 마진" 서문 DukeLoveU 01-22 2,863
1401 자유 게시판 실패에 대한 버핏의 조언 DukeLoveU 01-22 2,418
1400 자유 게시판 투자에서 자국 편향의 문제 - 일본의 사례 DukeLoveU 01-22 3,287
1399 자유 게시판 BNSF 철도 인수 후 10년, 버핏의 투자는 옳았을까? DukeLoveU 01-22 3,262
1398 자유 게시판 존 보글이 전해준 3가지 교훈 icon Work4Block 01-21 3,472
1397 자유 게시판 에너지 전문가들, “이제 세 자릿수 유가는 볼 수 없을 것” icon Work4Block 01-21 2,971
1396 자유 게시판 배당 보다는 임대로 살아요... 엠까치 01-21 2,712
1395 자유 게시판 “확증 편향”, 가장 위험한 인지 편향 - 바로잡을 수 있는 건 자신뿐 icon Work4Block 01-21 3,211
1394 자유 게시판 이제 ETF 운용도 인공지능이 icon Work4Block 01-18 2,865
1393 자유 게시판 조엘 그린블라트, 젤리빈 그리고 주식 시장 icon Work4Block 01-18 2,565
1392 자유 게시판 EU의 對美 무역협상과 英•中경제 불안요인 icon Work4Block 01-18 2,660
1391 자유 게시판 유로와 美달러의 간극 icon Work4Block 01-18 2,685
1390 자유 게시판 세계경기와 부동산시장(2) icon Work4Block 01-18 2,673
1389 자유 게시판 드디어 세계 최고의 거래소로 정착했네요... 엠까치 01-18 3,626
1388 자유 게시판 블록체인과 암호(가상)화폐 icon Work4Block 01-17 2,928
1387 자유 게시판 신흥국 경제변수와 세계경기 하강위험 icon Work4Block 01-17 2,743
1386 자유 게시판 왜 투자자들은 장단기 금리 역전을 두려워할까? icon Work4Block 01-17 3,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