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금리예측이 어려워지는 이유

image.png

FOMC위원 구성(12명)은 연준 이사회(7명)와 지역연준 총재(5명)로 구성된다. 前者는 의장, 부의장, 위원 5명으로, 後者는 뉴욕을 제외한 지역(4개)은 유동적이며 총 5명으로 구성된다. 美中무역전쟁 등으로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중앙은행인 美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정책도 나날이 예측이 힘들어지고 있어 연준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첫째

경제전망의 경우에도 장기보다는 단기지표에 의지하는 점이다. 최근 연준 구성원들의 발언이 이를 말해준다. 부연(敷衍)하면 FED가 몇 년 단위가 아닌 매달 혹은 매분기 발표되는 물가상승률, 실업률, 경제성장률과 같은 단기지표를 경기판단의 근거로 삼고 있는바 이는 곧 FED의 장기적 전망이나 행보를 예측하기 더 힘들어짐을 의미한다. 일단 시장에선 이달 18∼19일 FOMC 회의

에서 FED가 금리를 한 차례 더 인상할 것으로 예상한다.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 반영된 12월 금리를 0.25% 올릴 확률은 60%대 후반에 달한다. FED의 금리정책은 시장의 예측에 상당히 부합한다. 08년 금융위기 이후 FED는 양적완화(QE)로 돈을 많이 풀어 경기를 부양하다가 경기회복세가 자리를 잡으면서 2015년과 2016년 1번씩 금리를 인상한다. 이후 美경제가 호조가 확실해지

면서 美연방준비제도는 당초 로드맵인 3•3•3전략에 따라 지난해와 올해 각각 3차례씩 금리를 올려 기준금리를 2∼2.25%까지 올린다. 참고로 3•3•3전략은 매년 3번, 3년간, 3%로 기준금리를 인상한다는 의미이다. 이번 12월 금리가 한차례 더 오르면 연방기준금리는 2.25~2.5% 수준이 된다. 많은 연준 관리들은 경기를 지나치게 부양하지도 않으며 둔화시키지도 않는 이른바 중립금

리 수준을 2.75% 혹은 3% 수준으로 보고 있다. 그렇더라도 여전히 중립금리 수준에 대해 확정짓지 못한 상태라서 시장 및 경제수치를 보고 더 높게 혹은 더 낮게 중립금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FED부의장은 새로운 경제데이터는 FED회의마다 금리를 결정하는 길라잡이가 될 뿐만 아니라 중립금리와 안정적인 물가상승에 부합하는 실업률이라는 2가지 핵심정책 이정표를 정기적으

로 평가하는 요소임을 강조한다. FED가 내년부터 그동안 연간 4차례인 회의 이후 기자회견을 8차례로 늘리는바 이는 금리변동이 있을 가능성이 그만큼 늘어난 것임을 의미한다. 이런 국면변화는 투자자들이 FED의 의도를 이해하는데 더 큰 어려움이 된다. 둘째 美연준의 행보가 불확실해지는 이유는 무엇보다 커지는 美경제의 변동성이다. 이에 연준內에서의 의견 불일치가 美경

제의 가장 큰 변수이다. 연준 관료들은 경제둔화를 예상하지만 그 과정에 얼마나 큰 변동성이 있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이미 금리인상은 주택가격 둔화로 이어지고 있으며 유가하락세와 물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는 금리인상에는 긍정과 부정의 2가지 측면이 존재한다. 前者는 美연준이 2015년 12월 금리인상을 시작한 시기보다 중립금리에 훨씬 가까워진

상태며 지표가 새로 나올 때마다 중립금리에 대한 평가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금리인상 유연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인 한편 後者는 금리인상 속도유지에 부정적, 신중해야 한다는 견해인바 이의 근거로는 美경기회복의 균열 가능성 즉 2019~20년 美경제의 둔화전망이다. 지역이나 부문별로 보면 호황인 곳도 있고 경기확대의 영향이 제대로 미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곳도 있지만.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227 자유 게시판 2008년 10월 어느 날 밤 워런 버핏의 전화 icon Work4Block 12-17 2,472
1226 자유 게시판 신문이여 굿바이! 신문의 비상과 몰락 icon Work4Block 12-17 2,478
1225 자유 게시판 자수성가 억만장자 12인이 들려주는 돈에 대한 조언 icon Work4Block 12-17 2,792
1224 자유 게시판 기술주들은 왜 함께 움직일까? 그러면 안 되는데... icon Work4Block 12-17 2,692
1223 자유 게시판 운송 지수 하락, 경기 둔화의 신호인가?, 아니면 아마존 효과인가? icon Work4Block 12-16 2,442
1222 자유 게시판 베네수엘라 인플레이션의 역사 icon Work4Block 12-16 2,406
1221 자유 게시판 홍수환, 4전 5기 신화 icon Work4Block 12-14 2,560
1220 자유 게시판 약세장이 시작되었다는 또 하나의 증거? 부문별 수익률 순위 비교 icon Work4Block 12-14 3,146
1219 자유 게시판 시장 타이밍의 위험성 icon Work4Block 12-14 2,959
1218 자유 게시판 美中정상회담과 관세유예를 보는 눈 icon Work4Block 12-14 2,879
1217 자유 게시판 유럽에서도 기지개를 켜고 있는 주주 행동주의 icon Work4Block 12-14 3,109
1216 자유 게시판 주식시장과 세계경기 icon Work4Block 12-14 2,999
1215 자유 게시판 미국에서 아마존이 성장할 수밖에 없는 이유 icon Work4Block 12-13 2,883
1214 자유 게시판 복리로 성장하는 기업에 투자하라 - 워런 버핏의 진화 2부 icon Work4Block 12-13 2,633
1213 자유 게시판 한국경제와 월가의 눈 icon Work4Block 12-13 2,448
1212 자유 게시판 경제학자들의 예측은 왜 틀릴까? icon Work4Block 12-13 2,508
1211 자유 게시판 무역협상 G2담판과 韓경제 앞날 icon Work4Block 12-13 2,938
1210 자유 게시판 계좌를 깡통으로 만든 트레이더 웃픈 이야기 icon Work4Block 12-12 3,015
1209 자유 게시판 유형 자산에서 무형 자산으로 - 워런 버핏의 진화 1부 icon Work4Block 12-12 3,503
1208 자유 게시판 어느 영부인의 일생 icon Work4Block 12-12 2,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