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미국 대통령들이 아프리카에서 "일부" 국가만 반복해서 방문하는 이유

아프리카에는 54개 국가가 있습니다. 이번에 미국 퍼스트레이디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가 아프리카를 방문하면서, 식민지 지배를 연상시키는 모자를 썼다는 이유로 구설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아래 쿼츠의 기사에서 그동안 생각해 보지 못했던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되었습니다. 역대 미국 대통령들은 아프리카 국가들 중 단 16개국만 방문했다는 내용입니다. 이해관계가 있는 국가만 집중적으로 방문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가 막 아프리카 여행을 마쳤다고 한다. 미국 퍼스트레이디가 된 후 처음 홀로 나선 해외 방문이었다. 여사가 방문한 가나, 말라위, 케냐 및 이집트는 역대 다른 퍼스트레이디들뿐만 아니라 대통령들도 즐겨 방문하던 곳이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1943년 영국령 감비아의 배서스트를 처음 방문하면서, 아프리카에 발을 디딘 최초의 미국 대통령이 되었다. 2차 세계대전에 함께 싸우고 있던 연합국들 간의 동맹을 강화하고, 적국들에게 "무조건적 항복"을 요구하기 위해 모로코의 카사블랑카를 방문하는 과정에서 들른 것이었다. .나치의 유보트가 어슬렁거리고 있던 대서양을 배로는 여행할 수 없었기 때문에, 비행기로 해외 순방에 나선 미국 최초의 대통령이 되었다.

그 후, 공식 방문 또는 잠시 동안의 기착을 포함해, 총 8명의 미국 대통령이 아프리카를 찾았다. 미국 국무부의 자료에 따르면, 아프리카 전역의 11개국을 방문했던 조지 W. 부시가 가장 많이 아프리카를 방문한 대통령이었다. 빌 클린턴 대통령은 10개국을, 오바마 대통령은 9개국을 방문한 바 있다. 하지만 아시아 전체 54개국 중 미국 대통령들이 방문한 국가는 16개국에 불과한 것을 보면, 일부 국가를 반복해서 찾은 것이 분명하다.


image.png
(2000년 나이지리아를 방문한 빌 클린턴 대통령)

영국 런던에 있는 싱크 탱크N'채텀 하우스'의 아프리카 프로그램 책임자N'알렉스 바인스'는 미국 대통령이 아프리카 국가를 방문하는 것은 안보와 지정학적 이유 또는 인도주의적 목적 때문이라고 말한다. 오랫동안 아프리카는 미국의 지정학적 관심사에서 핵심이 아닌N'부록'으로 간주되어 왔기 때문에, 오바마 행정부 시기에조차, 미국 대통령들이 특정 국가에만 초점을 맞추었던 것은 놀라운 일도 아니다."라고 덧붙인다.


image.png
(아프리카 국가들 중 미국 대통령이 한 번도 방문한 적인 없는 국가)

미국 대통령들이 가장 많이 방문한 국가는 이집트로, 지미 카터에서 버락 오바마까지 모든 대통령이 적어도 한 번은 이 국가에 들렀다. 이집트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북대서양과 인도양을 연결하는 중요한 연결 고리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스라엘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가장 인구가 많은 아랍 국가기 때문에, 지난 수십 년 동안 미국 당국자들은 카이로와 텔아비브 간의 관계 발전을 통해 이 지역의 안정을 유지하고 힘을 쏟아 왔으며, 매년 이집트에 수십억 달러의 원조를 제공하면서 1979년 평화 협정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케냐와 나이지리아를 비롯한 국가들 또한 미국 대통령이 즐겨 방문하는 곳이었다. "테러와의 전쟁"에서 중요한 아프리카 동맹국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image.png
(역대 미국 대통령들이 방문한 아프리카 국가와 횟수)

브루킹스 연구소의N'아프리카 성장 계획' 소속 연구원 랜드리 시그네는 안보 문제 외에도, 경제 번영과 인권 및 민주주의 원칙 사이에 "더 큰 합의"를 이끌어 내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말한다. 2009년 오바마 대통령이 가나를 방문해, "활기찬" 민주주의 국가라면서, "세계가 그동안 비극이나 자선의 관점에서만 바라보고, 다른 모든 면은 너무 간과해 온 아프리카의 얼굴이라고 말한 것"에서 잘 알 수 있다.

세네갈의 경우는, 많은 정치적 굴곡을 겪어 왔고, 프랑스어권 국가로서 미국이 영어권 국가를 넘어서 영향력을 확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하에 미국 대통령의 방문이 추진된 것이다.


image.png
(중국 지도자들은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총 79차례 아프리카를 방문했다.)

물론 미국 대통령들은 아프리카를 방문하는 것보다, 백악관에서 아프리카 대통령을 맞이하는 것을 훨씬 더 좋아할 것이다. 워싱턴이 미국-아프리카 관계의 중심이며, 아프리카 지도자들은 관계 개선을 위해 미국 대통령을 찾아가 호소하는 편이 더 빠르기 때문이다.

외교, 경제 및 군사적 이익을 끌어내기 위해 아프리카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중국 지도자들의 행동과는 대조되는 모습니다. 아프리카 지도자들 또한 이 점에 주목하고 있으며, 기회가 생길 때마다 베이징을 방문하고 있다.

자료 출처: Quartz, "The reason American presidents keep visiting the same few African countries"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885 자유 게시판 잡다한 역사이야기 32편 - 병사에서 왕이된 남자 icon Work4Block 10-10 2,932
884 자유 게시판 反戰스토리 7 icon Work4Block 10-08 2,698
883 자유 게시판 잡다한 역사이야기 31편 - 장자상속의 조선?? -5- icon Work4Block 10-08 3,460
882 자유 게시판 한국경제 둔화의 원인과 대책(1) icon Work4Block 10-08 3,265
881 자유 게시판 영국의 유럽연합 이탈(Brexit)(2) icon Work4Block 10-08 2,630
880 자유 게시판 전쟁의 위스키, 주주들의 위스키 - 위스키 배당금 세 번째 이야기 icon Work4Block 10-08 3,594
879 자유 게시판 차세대 스피릿은 이제 브랜디로 icon Work4Block 10-08 2,818
878 자유 게시판 다시 유가 100달러 시대? icon Work4Block 10-08 2,939
877 자유 게시판 준비 통화의 역할 - 미국 달러의 문제 1부 icon Work4Block 10-08 2,737
876 자유 게시판 문을 닫는 도쿄 츠키지 수산 시장 icon Work4Block 10-06 2,405
875 자유 게시판 영국의 유럽연합 이탈(Brexit)(1) icon Work4Block 10-06 2,478
874 자유 게시판 베네수엘라, 이번에는 난민 위기 (2부) icon Work4Block 10-06 2,677
873 자유 게시판 소버린리스크와 유럽은행권 통합 icon Work4Block 10-06 2,574
872 자유 게시판 예일 대학 기부금 펀드, 드디어 암호화폐에 투자 icon Work4Block 10-06 2,655
871 자유 게시판 맥켈란N'홀리 그레일', 위스키 경매 신기록 110만 달러 icon Work4Block 10-06 2,991
870 자유 게시판 베네수엘라, 이번에는 이주 위기 (1부) icon Work4Block 10-06 2,645
869 자유 게시판 불충분한 中경기부양책과 성장둔화 icon Work4Block 10-05 2,099
868 자유 게시판 中증시는 왜 美증시와 반대흐름인가. icon Work4Block 10-05 2,646
867 자유 게시판 세계경제 위협요인과 자산가격 고평가 icon Work4Block 10-05 2,916
866 자유 게시판 고기의 미래, 사육이 아니라 세포 농업 icon Work4Block 10-04 2,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