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KEEP!T Column : 블록체인과 헬스케어

이 컨텐츠 출처는 KEEP!T (https://steemit.com/@keepit) 입니다
KakaoTalk_Photo_2018-04-04-10-29-02.png

KEEP!T Column


  해외여행을 할 때 나의 백신 기록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혹시 본인이 맞았던 백신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정확히 기억하시나요? 만약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 어디에서 나의 백신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지 아시나요? 작년에 같은 부위의 엑스레이를 찍었는데 다른 병원으로 옮겼기 때문에 다시 같은 엑스레이를 찍어야 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이전 칼럼에서도 몇 번 소개해드렸던 것처럼, 지금은 의료기관 간의 진료 정보가 호환되지 않아 교류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환자 중심으로 진료 내역과 정보, 이미지들을 한곳에 모아서 통합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어서 우리는 병원을 옮길 때마다 CD나 종이로 정보를 물리적으로 옮겨야 합니다. 불편할 뿐만이 아니라 2014년 기준 CR, MRI 중복 촬영 등으로 월평균 16억 원이 낭비됩니다.



image.png




  해외로 눈을 돌려 미국의 보스턴으로 가볼까요? 보스턴 도시 안에서 쓰이는 디지털 의료 정보 시스템은 26가지나 됩니다. 각 시스템은 자신만의 용어와 알고리즘으로 정보들을 표기합니다. 환자의 중요한 정보들이 여러 곳에 흩어져 있고, 응급 상황이 왔을 때 - 가장 필요한 때에 - 그 정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스탠포드의 Blockchain & Social Impact 리포트에 따르면, 조사했던 200여 개의 프로젝트 중 헬스케어 분야가 25% 비중으로 다른 어떤 산업보다 블록체인 기술이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image.png
[Source: Blockchain for Social Impact Report – Stanford Graduate School of Business]




  이번 칼럼에서는 헬스케어 분야를 개선하고자 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을 한번 소개하고자 합니다.

1. MedRec(https://medrec.media.mit.edu/)

  MIT 미디어 랩에서 개발한 MedRec은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을 통해 탈중앙화된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을 만드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프라이빗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입증 (authentication), 기밀 유지, 거버넌스, 그리고 데이터 쉐어링을 가능하게 하겠다는 모델인데요. MedRec은 여러 참여자들이 쓰기/읽기 권한들을 다르게 가질 수 있게 함으로서, 의료 정보를 열람만 할 수 있는 기관들, 또는 의료 정보를 수정하거나 약 처방을 수정할 수 있는 권한들을 다르게 부여합니다. 권한을 부여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누가 언제 어떤 정보를 열람했는지 추적이 가능하여 나의 의료정보가 어디에 노출 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MedRec은 보스턴에 있­­­는 Beth Israel Deaconnes Medical Center와 함께 파일럿을 진행하였고, 모듈 디자인으로 여러 기관들의 정보들이 보다 쉽게 호환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image.png
[Beth Israel Deaconnes Medical Center]




  MedRec을 통해 모아지는 의료 정보들은 연구 분석에 쓰일 수 있도록 항목별로 분류하고 익명으로 저장됩니다. 그리고 연구 기관이나 연구자들이 MedRec의 데이터가 필요할 때, 마이닝을 통해 네트워크 확장에 참여하여야 보상으로 데이터를 받을 수 있게 했습니다.
  하지만 2017년 말에 나온 Technology review기사에 따르면 이와 같은 비트코인 방식의 마이닝 기능을 없애거나 수정할 수도 있다는 소식도 나오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마이닝 모델은 전산 파워가 어마어마하게 들고, 마이닝 과정 중에 많은 에너지 소모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Patientory(https://patientory.com/)

  수많은 헬스케어 블록체인 프로젝트들 중에 선두를 달리고 있는 프로젝트 중 하나가 Patientory입니다. Patientory도 MedRec과 비슷한 미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을 통해 개인 정보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디지털 의료 정보를 연결하는 것입니다. Patientory는 그들의 토큰인 PTY를 안전하고, 비공개된 시스템을 통해 헬스케어 생태계 안에 있는 모든 참여자들을 연결하고 참여자들 간의 정보 교류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만들고 있습니다. Patientory의 바램은 블록체인을 통해 의료 정보의 주체가 의료기관들이 아니라 의료소비자들이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또 중앙화된 기관이 의료 정보를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탈중앙화된 데이터 소유 모델을 구축해서 미국의 HIPAA 법에 (건강보험 정보의 이전 및 그 책임에 관한 법률) 부합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image.png



  Patientory는 가장 최근 2018년 8월 말에 베타 테스팅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베타 테스팅은 80명의 참가자들이 2018년 5월 31일부터 8월 26일까지 약 3개월 동안 Beta 앱을 사용해보고 피드백을 요약한 문서입니다.

3. Mediledger Project(https://www.mediledger.com/)

  헬스케어의 공룡인 Genentech과 Pfizer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약품들을 포함한 의료 관련 공급망을 추적하는 솔루션을 만들었습니다. Mediledger는 미국 소재 스타트업인 Chroniced와 파일럿을 마친 상태이고 2018년 10월부터 서비스가 공개적으로 출시될 예정입니다. 위/변조가 불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통해 유통을 더 투명하게 관리하고, 미국의 약물 공급망 보안법 (DSCSA) 규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따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4. BlockPharma(https://www.blockpharma.com/)

  프랑스 소재의 BlockPharma 프로젝트는 위조된 가짜 약을 분별하는데 블록체인을 활용하고자 합니다. BlockPharma에 따르면 매년 800,000명의 사람들이 위조된 가짜 약을 먹고 사망합니다. 전 세계 유통되는 약 중에 위조된 가짜 약은 총 유통량 중 15%에 달합니다. BlockPharma는 블록체인과 크라우드소싱을 통해 약품 시장에 있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위조 약의 정보를 올리고 공유하는데 참여하게 하고자 합니다. BlockPharma 어플을 이용해 약의 바코드를 스캔하면 그 약이 진짜인지 가짜인지 감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BlockPharma의 목표입니다.


image.png



앞서 여러 번의 칼럼을 통해 소개해드렸듯이, 헬스케어 분야는 기술적으로 풀어야 할 문제보다 규제 측면에서 문제가 더 많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혁신을 만들고자 노력하는 만큼,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데이터가 안전하면서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날이 어서 오기를 바랍니다.

B4GS


"Blockchain for Good Society 시리즈"
KEEP!T Column: 블록체인과 소셜임팩트
KEEP!T Column : 블록체인이 어떻게 인신매매를 줄일 수 있을까?
KEEP!T Column : 블록체인이 만드는 투명한 사회 - 중개인의 실패
KEEP!T Column : Blockchain for Good in Consensus 2018
KEEP!T Column: 블록체인이 만드는 투명한 사회 - 믿고 먹을 수 있는 식음료
KEEP!T Column: 블록체인이 만드는 투명한 사회 - 블록체인을 활용한 투표
KEEP!T Column: 블록체인 업계의 투명성
KEEP!T Column: BSIC - Decentralized Impact Incubator
KEEP!T Column : Cryptocurrencies and the Dark Market


logo_end.gif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70 자유 게시판 지도로 보는 세계 국가별 수출 및 수입 규모 icon Work4Block 07-08 4,217
2069 자유 게시판 反戰스토리 4 icon Work4Block 08-24 4,208
2068 자유 게시판 [과학 에세이] 양자역학, 경제학, 그리고 진화론 (1) icon Work4Block 08-20 4,184
2067 자유 게시판 해외고수익 정직원채용 hdhhdhhf 10-22 4,155
2066 자유 게시판 임진왜란이 발발한 진짜 이유 icon Work4Block 06-07 4,153
2065 자유 게시판 애니리뷰[블랙라군] icon Work4Block 08-23 4,139
2064 자유 게시판 알쓸잡상 57편 - 제트기류 icon Work4Block 08-25 4,139
2063 자유 게시판 15조 달러, 경기 침체를 우려한 대가 - 2018년을 돌아보고, 2019년을 전망해 본다 icon Work4Block 12-21 4,107
2062 자유 게시판 셰일 원유가 유가에 미치는 영향 icon Work4Block 05-25 4,105
2061 자유 게시판 잡다한 역사 이야기 10편 - 독일 축구대표팀의 유니폼 색깔은? icon Work4Block 06-01 4,080
2060 자유 게시판 존 킬리는 1800년대의 버니 매도프였을까요?, 아니면 니콜라 테슬라였을까요? icon Work4Block 09-04 4,079
2059 자유 게시판 KEEP!T Column : 블록체인과 헬스케어 icon Work4Block 09-12 4,076
2058 자유 게시판 석유의 역사를 통해 바라본 가상화폐 이야기 icon Work4Block 06-01 4,058
2057 궁금해요 잘 알려져 있지 않은N'KFC 영감님' 이야기 icon Work4Block 08-06 4,053
2056 자유 게시판 셰일 원유 생산량과 천연가스 가격과의 관계 icon Work4Block 02-11 4,026
2055 자유 게시판 골드만 삭스의 서클, 앱에 신기능 "바이 더 마켓" 장착 - 7개 코인 동시 매수 가능 icon Work4Block 05-25 4,020
2054 자유 게시판 몇 가지 차트, 몇 가지 생각 (2) icon Work4Block 12-26 4,013
2053 자유 게시판 미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소설 100권, 1위는? icon Work4Block 10-24 3,984
2052 자유 게시판 음식물 쓰레기 위기, 2030년 전 세계적으로 20억 톤 이상에 이를 것... icon Work4Block 08-24 3,982
2051 자유 게시판 <영화>N'비와 당신' 그리고 라디오스타 icon Work4Block 08-11 3,981